(서울=연합뉴스) 차병섭 기자 = 최근 미국 물가 지표가 연이어 예상보다 높게 나오면서
기준금리 조기 인하 기대가 줄어든 가운데, 로이터통신이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도 당초
예상보다 늦은 6월 금리 인하 시작 관측이 절반을 차지했다. 로이터통신은 14∼20일
(현지시간) 시장 이코노미스트 104명을 대상으로 의견을 물은 결과 절반을 살짝 넘는
53명(50.96%)이 첫 기준금리 인하 시기로 6월을 꼽아 5월 전망(33명·31.73%)을 앞섰다고
보도했다. 로이터는 지난해 9월부터 첫 기준금리 인하 전망에 대한 월례 설문조사를 진행
중인데 전망이 3월에서 5월로 늦춰진 데 이어 이번에는 6월로 또 한 번 늦춰진 것이다.
3월 인하 전망은 지난달 여론조사 당시 16명에서 0명으로 바뀌었고, 나머지 응답자들은 2분기
중 어느 시기에 금리 인하가 시작될 것으로 봤다. 2분기 금리 인하를 예상하는 견해는 지난달과
비슷한 86명(82.69%)이었다. 앞서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지난달 31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 상단을 5.5%로 동결한 뒤 “3월 FOMC 회의 때
(금리를 인하할 만큼) 확신에 도달할 것으로 생각하지는 않는다”라고 말한 바 있다. 이후 발표된
미국의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생산자물가지수(PPI)도 시장 전망보다 높게 나오면서 조기
금리 인하 기대에 찬물을 끼얹은 바 있다. 이에 따라 시장금리의 벤치마크인 10년물 미 국채금리는
이달 들어서만 0.5%포인트 가까이 올라 4.28%를 기록 중이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선물 시장에서는 5월 금리 동결 전망이 67.0%로
과반인 반면 6월 동결 전망은 23.4%로 낮은 상황이다. 시장에서는 연준이 2021년 당시 인플레이션
(물가 상승)을 일시적이라 평가해 대응 시기를 놓쳤다는 비판을 받는 만큼 이번에는 실수를 반복하지
않으려 한다고 평가하고 있다. 투자은행 낫웨스트마켓의 케빈 커민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기준금리
인하 시기 전망을 5월에서 6월로 미루고 올해 금리 인하 예상 폭도 줄이면서, 연준이 2021년 당시
오판을 되풀이하지 않으려 한다고 봤다. 설문조사에서는 연준이 주시하는 개인소비지출(PCE)
상승률이 올해 하반기에 2% 부근으로 내려갈 것으로 예상한 반면 CPI와 근원 CPI(에너지·식료품 제외),
근원 PCE 등은 적어도 2026년까지는 여전히 2% 목표보다 높을 것으로 봤다.
이는 연준이 기준금리 인하를 시작하더라도 속도가 기대보다 느릴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말 기준금리
상단이 4.5%보다 높을 것으로 본 견해(41.34%)를 포함해 응답자의 61.53%(64명)는 올해 금리 인하
폭이 1.0%포인트이거나 그 이하일 것으로 예상했다. 47명이 답한 설문에서는 40명(85.10%)이
기준금리 인하가 예상보다 느릴 때의 위험이 빠를 때보다 크다고 답했다. 이번주 1월 FOMC 의사록
발표를 앞둔 가운데 ‘대차대조표 축소’라고 불리는 연준의 양적 긴축이 이어질 것이라는 시장 전망이
나온다고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연준의 대차대조표 가운데 부채 항목에는 은행 지급준비금과
역레포(역환매조건부채권) 등이 있는데, 일각에서는 역레포가 줄어드는 등 단기 자금시장에서 잉여
현금이 빠르게 감소하고 있다며 양적 긴축 속도 조절 가능성을 거론한 바 있다.
하지만 문제는 은행 지급준비금은 연준이 양적 긴축을 시작하던 2022년 6월보다 많다는 것이다.
금융정보업체 라이트슨ICAP의 로우 크랜들 이코노미스트는 “역레포에서 과잉 유출된 자금이
지급준비금 외에는 갈 곳이 없다”면서 “연준은 역레포에서 잉여현금이 은행 지급준비금으로 흘러가는
것을 비효율적으로 보며 전반적인 금융시스템에서 유동성을 계속 줄여나갈 이유로 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양적 긴축은 연준이 보유 중인 채권을 매각하거나 만기 후 재투자하지 않는 식으로
시중 유동성을 흡수하는 방식을 가리킨다.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양적 완화와 대비되는 개념이다.
바클리와 뱅크오브아메리카(BofA) 전략가들도 연준의 양적 긴축 속도 조절 시작 시기 전망을 뒤로
미뤘다고 블룸버그는 덧붙였다.
bscha@yna.co.k
https://www.koreatowndaily.com/articles/20240221023725